@Transactional(readOnly=true) 에서 쓰기 트랜잭션
들어가며
정말 읽기만 하는 경우 @Transactional(readOnly=true) 로 읽기 전용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플러쉬를 호출하지 않음으로써 어느 정도의 성능 최적화를 어느정도 이뤄낼 수 있다.
또는 읽기 전용 DB 에 쿼리를 보내기 위해 @Transactional(readOnly=true) 를 사용하여 라우팅 하기도 한다.
읽기 트랜잭션에서 쓰기 트랜잭션을 사용하면 서버에서 오류가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Transactional(readOnly=true) 트랜잭션 내에서 쓰기 트랜잭션을 호출했을 때 서버에서 오류가 나는 것이 아닌 DB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마주했다.
@Transactional(readOnly=true) 에서 쓰기 작업
읽기만을 위해 readOnly=true 로 설정했는데 쓰기 작업을 수행한 것은 분명히 실수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테스트 단계에서 이 문제는 어째서 발견되지 못했을까?
예를 들어 사용자 id 로 Member 객체를 가져오고 만약 없다면 새롭게 만들어서 반환하는 로직이 있다고 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Service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ader memberReader;
private final MemberCreator memberCreator;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Member getMember(Long id) {
List<Member> allMember = memberReader.getAllMember();
return allMember.stream()
.filter(member -> member.getId().equals(id))
.findFirst()
.orElseGet(memberCreator::create);
}
}
======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Creator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Member create() {
return save(new Member("default"));
}
}
이러한 로직이 나올 수 있는 상황은 정말 많다. 작업자가 다른 경우나 요구사항이 변경되어 MemberSerivce 가 하는 역할이 조금 달라진 경우 , 프로젝트가 매우 복잡한 경우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아서 readOnly=true 로 설정한 트랜잭션에서 쓰기 트랜잭션을 호출하는 실수를 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개발자가 미처 캐치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테스트를 통해 충분히 발견되어 수정되었어야 했다.
그리고 테스트에서 발견되지 못한 이유는 읽기 트랜잭션에서 쓰기 트랜잭션을 호출해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했기 때문이다.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이유
오류가 발생하지 않아 테스트에서 미처 발견되지 못할 수 있는 부분을 암시하는 내용을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
의 javadoc 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A boolean flag that can be set to true if the transaction is effectively read-only, allowing for corresponding optimizations at runtime. Defaults to false. This just serves as a hint for the actual transaction subsystem; it will not necessarily cause failure of write access attempts. A transaction manager which cannot interpret the read-only hint will not throw an exception when asked for a read-only transaction but rather silently ignore the hint
@Transactional(readOnly=true) 로 설정했더라도 반드시 쓰기에 대한 엑세스 시도가 실패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고 한다. 즉 DB 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음을 명시해 놓았다.
H2
테스트에서 h2 데이터베이스를 자주 사용하는데 h2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해 보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SpringBootTest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private MemberService memberService;
@Test
@DisplayName("id 로 멤버를 가져오는데 없으면 default Member 를 생성해서 가져온다.")
void getMember() {
Long id = 10003L;
Member member = memberService.getMember(id);
assertThat(member.getId()).isNotNull();
}
}
위 테스트에서 memberService.getMember(id);
를 호출하면 예외가 발생하면서 실패하길 기대하지만 실제로 이 테스트는 성공한다. @Transactional(readOnly=true) 로 설정했지만 쓰기에 성공한 모습이다.
MySQL
MySQL 을 설정하고 위 테스트를 동일하게 실행하면 이런 문구와 함께 이 테스트는 실패한다.
1
2
3
could not execute statement
....
Connection is read-only. Queries leading to data modification are not allowed
테스트 DB 로 MySQL 를 사용하면 읽기 트랜잭션에서 쓰기 트랜잭션을 호출하는 경우 쿼리를 컴파일 하는 과정인 PrepareStatement 에서 예외를 던진다. MySQL 를 테스트 DB 로 사용했다면 테스트 단계에서 위 문제를 발견하고 조치할 수 있었을 것이다.
MariaDB
에러가 발생한 프로젝트에서는 MariaDB 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 문제를 마주한 것으로 봐서는 H2 와 동일하게 위 테스트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했고 실제로 통과하였다. 쿼리를 executeUpdate() 과정에서 readOnly 를 체크하고 예외를 던지는 Driver 가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Driver 도 있었기에 이런 차이가 발생
MySQL 의 ClientPreparedStatement
에서는 readOnly 를 체크하고 예외를 던지는 모습이다.
반면 MariaDB 의 ClientSidePreparedStatement
에서는 그런 과정을 찾아볼 수 없다.
읽기 트랜잭션에서 쓰기 트랜잭션이 잘 돌아간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 읽기를 위한 목적과 쓰기를 하기 위한 목적을 최종적으로 모두 달성한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 같다.
문제는 Read-Write DB 를 별도로 구축되어 있고 읽기 트랜잭션에서 Command 쿼리를 Read DB 로 보내게 되었을 때 발생한다..
Read-Write DB 를 별도로 구축되어 있다면 Read DB 에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없어 쿼리가 전달되었을 때 에러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 쓰기 동작의 목적은 달성하지 못하게 되어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문제 해결하기
이 문제에 대한 명확하고 좋은 해결 방법은 잘 모르겠다. DB 마다 readOnly 동작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그럼에도 문제 해결방법을 찾아보면
첫 번째는 MySQL 과 같은 readOnly 옵션이 true 일 때 쓰기 동작을 하는 경우 예외를 던지는 DB 를 테스트 DB 로 사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이미 운영에서 Read-Write DB 로 구축되어 있다고 한다면 , 테스트 단계에서 Read-Write DB 를 간단히 구축하고 readOnly 옵션에 따라 라우팅을 하여 Read DB 에 Command 쿼리가 전달되는지 테스트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마무리 하며
그냥 “@Transactional(readOnly=true) 로 시작한 트랜잭션에서 @Transactional 를 사용하지 않으면 되는 것 아닌가” 라는 자세보다는 시스템적으로 가능하다면 언제든 이런 에러는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시스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